통합찬송가 1장 ‘만복의 근원 하나님’: 작사가 토마스 켄, 작곡가 루이 부르주아의 삶과 숨겨진 에피소드, 그리고 역사

통합찬송가 1장 만복의 근원 하나님통합찬송가 1장 만복의 근원 하나님

입례송이자 축복송으로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통합찬송가 1장, ‘만복의 근원 하나님’! 짧지만 깊은 울림을 주는 이 찬송가에는 어떤 역사와 이야기가 담겨 있을까요?
작사가 토마스 켄 주교와 작곡가 루이 부르주아의 삶과 이 찬송가에 얽힌 흥미로운 에피소드를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교회 예배의 시작이나 끝에, 혹은 특별한 감사 예식에서 우리는 약속이라도 한 듯 한 목소리로 찬송가 1장 ‘만복의 근원 하나님’을 부릅니다. “만복의 근원 하나님 온 백성 찬송 드리고 저 천사여 찬송하세 찬송 성부 성자 성령 아멘.” 너무나 익숙하고 당연하게 부르는 이 찬송가에 누가, 왜, 어떻게 곡을 붙였는지 궁금해하신 적은 없으신가요?

오늘은 통합찬송가 1장, ‘만복의 근원 하나님’의 아름다운 가사와 선율을 탄생시킨 두 사람, 영국의 작사가 토마스 켄(Thomas Ken)과 프랑스의 작곡가 루이 부르주아(Louis Bourgeois)의 이야기와 함께 이 찬송가에 얽힌 역사와 에피소드들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이 글을 통해 우리가 부르는 찬송가 한 곡 한 곡이 가진 깊은 의미와 풍성한 배경을 느끼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1. 통합찬송가 1장, ‘만복의 근원 하나님’ 알아보기

  • 찬송가 번호: 통합찬송가 1장
  • 제목: 만복의 근원 하나님
  • 영문 제목: Praise God from Whom All Blessings Flow (The Doxology)
  • 작사: 토마스 켄 (Thomas Ken, 1637-1711)
  • 작곡: 루이 부르주아 (Louis Bourgeois, c. 1510-1561)

이 찬송가는 예배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영광송 중 하나입니다.
짧은 네 줄 안에 성부, 성자, 성령 삼위일체 하나님께 모든 찬양과 영광을 돌린다는 신앙 고백이 함축적으로 담겨 있습니다.

/ImageFX 제작

2. 강직한 신앙인, 작사가 토마스 켄 주교

토마스 켄은 17세기 영국의 성공회 주교이자 저명한 찬송가 작가입니다.
그의 삶에는 신앙적인 용기와 목회적인 열정이 가득한 여러 일화들이 전해집니다.

[에피소드 1] 학생들을 위한 경건 훈련에서 탄생한 영광송

‘만복의 근원 하나님’은 원래 켄이 윈체스터 대학의 교목으로 사역할 때, 학생들의 경건 생활을 돕기 위해 쓴 긴 아침 찬송시 “Awake, My Soul, and with the Sun”의 마지막 네 줄 후렴구였습니다.
그는 학생들이 하루를 시작할 때, 잠자리에 들 때, 심지어 밤중에 잠에서 깼을 때도 하나님을 기억하고 찬양하기를 바라며 아침, 저녁, 자정 세 편의 찬송시를 썼습니다.
‘만복의 근원 하나님’은 이 세 찬송시 모두에 붙는 공통 후렴구였죠. 그는 이 영광송을 통해 모든 복이 하나님께로부터 오며,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만이 찬양받으시기에 합당하다는 신앙을 학생들의 마음속에 심어주고자 했습니다.
특히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강조는 당시 유행하던 이단 사상에 대한 경계의 의미도 담고 있었습니다.
이 짧은 후렴구가 시간이 지나 독립적인 찬송가로 분리되어 전 세계적으로 불리게 된 것입니다.

[에피소드 2] 국왕 앞에서도 굽히지 않은 신념

토마스 켄의 강직한 신념을 보여주는 유명한 일화가 있습니다.
찰스 2세 국왕이 윈체스터에 방문했을 때, 국왕은 자신의 애첩인 넬 그윈에게 켄의 집에서 묵게 하라고 명령했습니다.
그러나 켄은 “성직자의 집을 그러한 불의한 목적으로 내어줄 수 없다”며 단호히 거절했습니다.
당시 국왕의 명령을 거역하는 것은 목숨을 걸어야 할 만큼 위험한 일이었지만, 켄은 자신의 신념을 굽히지 않았습니다.
놀랍게도 찰스 2세는 그의 이러한 용기와 강직함에 감탄하며 오히려 그를 존경하게 되었다고 전해집니다.
이 사건 이후 켄은 국왕의 신임을 얻어 주교로 임명되기도 했습니다.
그의 삶은 찬송가 가사처럼 ‘오직 하나님만을 찬양’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고, 그의 행동은 그 신앙의 진정성을 증명했습니다.

[에피소드 3] ‘비국교도’로서의 고난과 깊어진 신앙

명예혁명 이후 토마스 켄은 새로운 왕에게 충성을 맹세하기를 거부한 ‘비국교도 주교'(Non-Juror)가 되어 주교직에서 물러나게 됩니다.
그는 남은 생애를 비교적 어려운 환경 속에서 보냈지만, 이러한 고난은 오히려 그의 신앙을 더욱 깊어지게 했습니다.
그는 이 기간 동안 더 많은 경건 서적과 시를 쓰며 영적인 유산을 남겼습니다.
‘만복의 근원 하나님’ 찬송가에는 이러한 그의 고난 속에서도 변치 않은 하나님께 대한 신뢰와 찬양이 담겨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는 죽을 때까지 자신의 신념을 지켰으며, 검소한 장례식과 가난한 이들이 자신의 관을 메도록 유언하여 많은 이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ImageFX 제작

3. 종교 개혁 시대의 음악가, 작곡가 루이 부르주아

루이 부르주아는 16세기 프랑스의 작곡가로, 개신교 종교 개혁 시대의 예배 음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특히 그는 존 칼뱅이 이끌던 제네바에서 시편가를 만드는 작업을 담당했습니다.

[에피소드 1] 제네바 시편가와 ‘Old Hundredth’ 선율의 탄생

존 칼뱅은 예배에서 회중이 함께 부를 수 있는 시편 찬송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이를 위해 각 시편을 프랑스어 운율에 맞게 번역하고, 회중이 쉽게 따라 부를 수 있는 선율을 붙이는 대규모 작업이 진행되었습니다.
루이 부르주아는 이 ‘제네바 시편가(Genevan Psalter)’ 작업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이었습니다.
그는 기존의 선율을 개작하거나 새로운 곡을 만들었는데, 통합찬송가 1장의 선율인 “Old Hundredth”는 원래 그가 제네바 시편가의 시편 134편에 붙였던 곡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선율은 곧 시편 100편의 영어 번역 가사(“All People that on Earth Do Dwell”)와 결합되면서 “Old Hundredth”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고, 개신교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선율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에피소드 2] 선율 개작 때문에 감옥에?

회중 찬송에 적합한 음악을 만들려는 루이 부르주아의 노력은 때로는 어려움에 부딪히기도 했습니다.
1551년, 그는 제네바 당국의 허가 없이 일부 시편가 선율을 변경했다는 이유로 체포되어 감옥에 갇히는 사건이 있었습니다.
당시 예배 음악은 신학적인 기준에 맞춰 엄격하게 관리되었기 때문입니다.
다행히 존 칼뱅의 중재로 그는 다음 날 석방될 수 있었지만, 이 일화는 종교 개혁 시대에 예배 음악의 형태와 내용이 얼마나 중요하게 다루어졌는지를 보여줍니다.
비록 이 사건 이후 부르주아는 제네바를 떠나게 되지만, 그가 남긴 제네바 시편가의 선율들은 유럽 전역의 개신교 찬송가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ImageFX 제작

4. 시대를 넘어선 가사와 선율의 만남

토마스 켄은 17세기에, 루이 부르주아는 16세기에 활동한 인물입니다.
‘만복의 근원 하나님’ 찬송가는 작사가와 작곡가가 직접 협력하여 만든 곡이 아니라, 켄이 쓴 가사(원래는 아침 찬송의 일부)와 부르주아의 유명한 선율(“Old Hundredth”)이 후대에 결합되면서 탄생했습니다.

켄의 간결하고 신학적인 가사는 부르주아의 웅장하고 부르기 쉬운 선율과 완벽하게 어울렸습니다.
모든 복의 근원이신 하나님께 온 백성과 천사들이 함께 찬양하라는 가사의 메시지는 이 선율을 통해 더욱 힘 있고 감동적으로 전달되었습니다.
이러한 시대를 초월한 가사와 선율의 만남 덕분에 ‘만복의 근원 하나님’은 수백 년 동안 수많은 기독교인들의 입술과 마음을 통해 하나님께 드려지는 아름다운 찬양이 될 수 있었습니다.

/ImageFX 제작

5.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의미와 유산

‘만복의 근원 하나님’은 단지 오래된 찬송가가 아닙니다.
이 찬송가에는 작사가 토마스 켄의 흔들리지 않는 신앙과 경건 훈련에 대한 열정, 그리고 작곡가 루이 부르주아의 회중 찬송 회복을 위한 음악적 노력이 담겨 있습니다.
또한 시대를 초월하여 수많은 신앙인들이 이 찬송가를 통해 하나님께 감사와 찬양을 드려온 역사가 녹아 있습니다.

한국 교회에서 통합찬송가의 첫 장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 또한 특별합니다.
예배의 시작을 알리거나 예배를 마무리하며 축복의 의미로 이 찬송가를 부를 때, 우리는 모든 복의 근원이신 하나님을 기억하고 그분께 합당한 찬양을 드리는 것입니다.
짧지만 강력한 이 찬양을 통해 우리는 수백 년의 신앙의 유산을 이어가고 있으며, 전 세계 그리스도인들과 함께 동일한 고백을 드리고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이제 통합찬송가 1장을 부를 때, 단순히 익숙한 멜로디와 가사를 따라 부르는 것을 넘어, 이 찬송가에 담긴 깊은 신앙적 의미와 작사가, 작곡가의 헌신적인 삶, 그리고 이 찬송가를 통해 역사하신 하나님의 은혜를 기억하며 더욱 풍성한 찬양을 올려드리기를 바랍니다.

참고 자료 출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만복의 근원 하나님’ 찬송가에 얽힌 또 다른 이야기나 개인적인 경험이 있다면 댓글로 나눠주세요!

※이 글의 이미지와 글의 내용은 ImageFX / Gemini의 도움을 받아서 작성 되었습니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