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은 500년의 세월동안 일본이나 중국에 있던 물방아를 만들려고 시도했지만 자력으로 3단 수차를 만들어 내지 못했다고 해요.
조선 왕조 실록을 보면
1429년 세종 11년 12월 3일
일본의 물레방아가 굉장하다고 보고하였다고 해요.
임진왜란 이전(임진왜란 이후에는 조선통신사만 일본 방문)까지는
일본에서는 조선에 국왕사를 보내고 조선은 통신사를 보냈는데 조선의 통신사가 일본의 3단 수차가 대단하다고 세종대왕에게 보고하였다고 해요.
1430년 세종 12년 9월 27일
물레방아를 만들려고 해요.
세종대왕이 3단 수차를 만들려고 노력했는데 만들지 못하였다고 해요.
1431년 세종 13년 5월 17일
‘중국이나 일본도 물레방아의 이익을 얻고 있지만 우리 조선에는 그것이 없다’라고 기술하게 되요.
1431년 세종 13년 12월 25일
물레방아 도입을 시도하는데,
중국이나 일본으로 부터 3단 수차를 도입하려고 하지만 역시 실패 했다고 해요.
1451년 문종 원년 11월 18일 20년에 걸친 물레방아의 도입 실패.
그후 세종의 아들인 문종때에 세종때 실패한 수차를 도입하려고 했지만 역시나 실패 했다고 해요.
1546년 명종 원년 2월 1일
물레방아 도입의 시도. 류큐(오키나와)와 중국으로부터 복건식 물레방아를 수입했다고 해요.
연산군과 성종때 조정에서 3단 수차를 도입하려고 하지만 실패했고
세종때로부터 100년이 훌쩍 지난 뒤인 명종왕때 류쿠와 명에서 수입했다는 기록이 있다고 해요.
이후 백년간 물레방아에 대한 기록이 없고,
1763-64년의 조선 통신사「일동장유가」(정성(淀城)의 물깃기를 통해 물레방아의 감상)
18세기 조선통신사의 기록인 일동장유가에 일본의 3단 수차에 대한 기록이 있다고 해요.
기록에는 ‘그 구조의 교묘함은 본받아 만들고 싶을 정도다.’라고 기술하였죠.
1880년대가 되어 김홍집이 기록한것에 따르면
조선에는 관개시설이 없고 물레방아 조차도 없다고 탄식하는 기록이 있다고 해요.
즉, 세종의 사신으로 일본에 통신사로 간 박단생이 1429년에 일본에서 3단 물레방아를 보고와서 조선 조정에서 수백년간 도입하려고 했지만 구한말인 19세기 후반에도 3단 물레방아인 수차는 없었다고 해요.
정확히 말하자면 수입은 했으나 자력으로 만드는데 실패했던 것이죠.